[뉴스특보] 코로나19 신규 확진 67명…지역감염·해외유입 확산에 '비상'<br /><br /><br />국내 신규 확진자가 어제 하루 67명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과 대전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, 해외유입 사례도 급증해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국내 상황을 감염내과 전문의인 신상엽 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과 진단해봅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23일 만에 최대치로 나왔습니다. 특히 신규확진의 절반을 차지하는 해외유입 환자가 증가세인데요. 대부분 검역과정 중에 확진돼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데, 컨트롤 할 수 있는 상황이라 보십니까?<br /><br /> 방글라데시에서 들어온 11명 중 9명이 수도권이나 전북, 제주 등 각지로 흩어진 뒤 확진 판정을 받아서요. 격리 중 확진이었다지만 전국으로 확산하는 새 불씨가 될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방역에 무리는 없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신규 확진자 중 36명은 지역사회의 감염인데요. 오늘 아침 서울에서만 졸업사진을 찍은 초등생 등 최소 5명의 추가 확진소식이 들려왔습니다. 서울에서는 6월 들어 하루 17.9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데 4, 5월에 비해 3배가량 늘어난 겁니다. 증식력이 높아진다는 건데 빨간불이 들어왔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이렇게 서울시 확진자가 두 자릿수를 이어가면서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깜깜이 환자도 100명을 넘었습니다. 감염경로를 빨리 찾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더 발생할 수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수도권 내 집단감염이 확산하자 경기도가 방문판매업체를 대상으로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. 앞서 집합금지를 했던 유흥주점, 코인노래방 등과 비슷한 선체 방역 조치로 보이는데요. 사전차단의 효과 얼마나 있을까요?<br /><br /> 방문판매업체, 탁구장, 요양시설, 물류센터 등 방역망 내 확진자도 추가로 계속 발생 중입니다. 이렇게 수도권의 신규확진 수가 늘자 병상 확보 문제가 제기되는데요. 하루 100명씩 열흘만 나오면 병상이 꽉 찬다는 건데요. 위기대응단계를 선제 조정할 필요는 아직 없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전주여고 확진자의 감염원이 확인됐습니다. 대전 방문판매 확진자와 같은 음식점을 이용했는데, 옆 테이블에서 단 5분 함께 있었다는데요. 그렇다면 무증상 감염이 그만큼 많을 수 있다는 추정이 가능해 보입니다?<br /><br /> 특히 대전권 확산이 엿새째 이어지면서 벌써 3차 감염까지 확인됐습니다. 대전 방문판매업체 관련 확진자가 16명이 추가돼 총 40명이 확인됐는데요. 특히 대전의 경우 확산 속도와 규모에서 차이가 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?<br /><br /> 수도권과 대전지역 발생 사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도 밝혀야 하는데 아직 추적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. 대전의 꿈꾸는 교회와 서울 금천구 도정기업체 사이 연관성은 확인됐는데 선후관계가 아직 미궁인 상황입니다.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하고 있는데 초발환자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?<br /><br /> 최근 2주간의 현황을 보면 식당, 모임, 직장 등을 통해 비수도권 지역까지 전파 확산됐죠. 이처럼 일상생활 감염이 계속되자 방역당국은 위기상황이라고 판단했는데요. 일상생활을 금지할 수도 없고 확산을 끊을 방법 없을까요?<br /><br /> 국내 연구진이 뇌졸중·당뇨병 환자와 흡연자가 왜 코로나19에 더 취약한지 원인을 밝혀냈습니다. 이 같은 고위험군의 경우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입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건데요.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날이 더워져도 코로나19의 기세는 여전하죠. 그런데 영하 20도의 저온에서도 살아남을 만큼 질긴 생명력을 가졌다는 중국 연구가 나와 주목됩니다. 코로나19가 기온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얼마만큼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